우리는 목포에서 하룻밤을 청한 뒤 해남으로 향하기로 했다.

그나마 가까운 볼만한 곳이라 생각했고 살면서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땅끝'을 가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결론은 '땅끝마을'로 향하자는 것이었다.

오늘 하루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약 90km로 상당했기에 찜질방을 서둘러 빠져나왔다. 

 

 

목포에서 아침은 다시 평화광장으로 와서 편의점 라면과 삼각김밥이다.

라면과 삼각김밥을 신속하게 먹은 뒤 영산강 하구둑을 건넌다.

 영산강 하구둑 옆으로 또 4대강 길이 펼쳐져 있다. 하지만 우리가 목표로 하던 곳과는 다르기 때문에 우리는 영상강 하구둑을 건너 전라남도 영암방향으로 달린다.

 

 

 

영산강 하구둑에 도착하니 바람이 무지막지하게 분다.

아산만 방조제도 그러했고, 금강 하구둑도 그러했고 바다와 강이 인접하는 곳에 가면

바람이 미친듯이 불어닥친다. 시원하게 부는 바람으로 인해 잠시간의 더위는 잊은 채 영산강 하구둑 앞에서 사진을 찍는다.

 

영산강 하구둑을 지나 정신없이 달리다 보니 해남 경계에 다다른다.

그날 달려야 하는 거리가 상당했기에 우리는 무작정 달린다. 1시간 가량을 달리고 10여분을 쉬면서 물과 양갱으로 영양보충을 하며 달렸다.

 

 

 

이 표시가 나오고 실제로 우리는 굉장히 기뻐했지만 이 표시는 그저 우리가 가고자 했던 목표의 절반이었음을 해남 땅끝마을에 도착하고 나서야 알았다.

 

땅끝해남이라는 이정표를 뒤로 하고 한참을 달리니 해남시내가 보인다.

우리는 해남시내에 들러 점심을 먹기로 했다.

점심을 든든히 먹어야 남은 거리를 잘 달릴 수 있을 것 같아

근처의 추어탕 집으로 점심을 먹으러 향했다.

 

 

해남 군청 뒤쪽에 위치한 추어탕 집이었다.

추어탕 집에서 나온 반찬들과 추어탕이다. 역시 추어탕이라는 보양식을 먹으니 괜스레 힘이 나는 것 같다.

 

 

더군다나 고추와 양파 각종 반찬들이 아주 싱싱하고 맛이 좋았다.

추어탕은 더할 나위없이 맛있었다. 시장이 반찬이라는 말처럼

2시가 넘어간 후에야 점심을 먹었기 때문이었다.

 

 

추어탕을 먹고 재빠르게 이동한다. 우리가 목표로 하는 곳과 해남 군청은 어느정도 거리가 있기에

나오자 마자 무작정 또 달린다. 달리다 보니 어느 새 또 다른 이정표가 나온다.

이게 진짜 땅끝마을인가 라는 의심이 든다.

네이게이터를 살펴보니 진짜 얼마 남지 않았다.

해남 중에서도 금강리가 아마도 진짜 땅끝마을 근처인인 듯 싶다.

 

 

 

진짜 땅끝마을에 가까워졌단 느낌을 받고 또 열심히 달리기 시작한다.

아직은 해가 쨍쨍하게 비치는 듯 보이지만 해는 어느덧 1시간 40여분 정도면 지평선 너머로 넘어갈 듯 보였다.

 

 

 

달리다 보니 어느새 우리는 마을에 다다랐다. 마을 뒷편을 바라보니 저 멀리 바다와 함께 갯벌이 보인다.

 

 

 

마을 입구(해남군 송지면 중리마을)에 세워져 있는 정자와 조그만 어선

마을 입구를 지나니 갈라지는 바다 조개체험장이 보인다.

우리가 도착했을 때는 마침 물이 빠지던 때라서 그런지 저 멀리 까지 보이는 갯펄로

조개를 캐는 한무리의 마을 주민들이 보였다.

 

 

 

밀물때는 물이 차 오르고 썰물때는 물이 빠지는 것만 한 없이 보고 있더라도

자연의 신비가 참으로 대단함을 느낀다.

 

내가 사진을 찍은 뒤편으로 바닷물이 갈라지는 모세의 기적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곳이다.

중도와 죽도 사이에 신비한 바닷길이 열리는 곳이다.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신기하고 아름다운 광경이었다.

 

 

드디어 도착했다. 이제는 리얼 땅끝이다. 목포에서부터 진짜 땅끝까지 달리느라 힘이 들었다.

 

요 며칠간 그렇게 바라고 바라던 진짜 땅끝마을의 표시 '아~ 땅의 시작~희망의 땅끝~!'

 

 

땅끝마을 길에서 사진을 찍어본다. 땅끝마을에 가보니 나름 편의점도 있고 좋았다. 사실은 편의점에서 맥주한캔을 사 먹으러 가려했다. 하지만 송호 해수욕장에서 한 밤을 묵으려 했기 때문에 다시 이동하며 돌아가는 길에 아주 후회스런 짓이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송호 해수욕장에서 이 곳 땅끝마을까지 솔재같은 고개를 하나 넘었어야 했기 때문이었다.

 

다시 고개를 넘어 송호 해수욕장으로 돌아왔다.

우리는 송호 해수욕장의 해변근처에 텐트를 치고 내부정리를 대충 한다.

 

조용히 한 상태에서

소리를 키우고 들어야 조용하게 부딪히는 파도소리가 들린다.

짐 정리를 다 하고 바다바람을 마시며 맥주 한캔씩을 마신다.

저 멀리 보이는 고즈넉한 불빛과 고요한 파도소리만 들리는

땅끝 송호해변의 송호 해수욕장에서의 하룻밤이 그렇게 지나간다.

 

Posted by 전방
,

자전거 여행을 한 지 2일차는 평택의 찜질방에서 잠을 청한 후 일어나 평택의

찜질방 바로 아래에 있는 맥도날드에서 맥모닝을 먹고 라이딩을 시작했다.

오래 달리기는 할 것이지만 그래도 나름 영양가가 고루 갖춰있다고 자기위로를 하며 먹었다.

역시나 맥모닝만으로 찌는 듯한 오후의 더위를 함께 한 채로 장시간 라이딩을 하기엔 부족했다.

(그래도 여행 도중 맥모닝을 이것 포함 2번은 먹었다.) 나름 가격대비 성능은 좋아서...

나름 고급스런 출발이다....  

 

보통 하루에 많이 달려야 싶은 날은 8시 30분 쯤 일어나 9시정도에는 아침을 먹고 늦어도 9시 30분 정도에는 출발했다. 그리고 적게 달려도 괜찮겠다 싶은 날은 9시 넘어서 일어나 10시 30분에 출발한 적도 있었다.

 

 

 

평택에서 신나게 본 것은 평택항근처에 있는 평택 박물관이었다. 해양박물관인지, 안에 들어가보니

평택항 박물관인지 배와 관련된 사진과 물품들이 전시되어 있고, 꼭대기에 올라가니 망원경으로

평택항과 물류창고에서 물건을 하역하는 장면을 바라볼 수 있는 장소가 있었다.

 

 

평택항 박물관에서 물건을 하역하는 게임을 하고 있는 나의 모습 약간 미친(?) 컨셉이다.

 

평택항 박물관 맨 위층으로 올라가니 저 멀리 평택당진항과 서해대교의 모습이 보인다.

 

 

 평택항 박물관에 들러 여러가지들을 구경한 뒤 역시나 편의점에서 컵라면과 삼각김밥으로 점심을 해결하고 평택당진항 근처를 한바퀴 돌아보기로 한다.

평택항 국제여객선 터미널의 모습이다.

 

평택당진항을 지나 꽤 달리다 보니 아산만 방조제가 보인다.

아산만 방조제가 꽤나 길다.

아산만 방조제에 올라 풍경을 바라보니 맞바람이 제법 부는 것이 차들도 휘청휘청거릴 태세다.

둑에 올라서 잠시 바다 바람을 맞으니 바다 내음새가 시원하다.

 

 

아산만 방조제를 거침없이 지나서 이윽고 아산에 도착했다.

아산에 도착하니 생각보다 거침없이 달려서인지 짐을 풀려고 생각했던 시간보다 이른 시간이었다.

그래서 아산에 왔으니 현충사를 한번 들러보기로 한다.

요즘 한창 명량이란 영화때문에 사람들 입에 자주 언급되는 충무공 이순신이 살았던 곳이다.

(원래 영화 명량이 아니었어도 남자들 사이에서는 지극히 자주 언급되는 임진왜란의

유명한 장수인 충무공 이순신장군이시다.)

 

 

 

현충사 가는 길에 찍은 사진이다.

생각보다 많이 달리지 않았고, 생각보다 빨리 도착해 가볍게  뛰어 사진이 찍힌 것이다.

현충사 사진을 올리면 좋을텐데 사진이 폰에서 다 날아갔다;;;;

다음 캡쳐 현충사 사진으로 대체를 하겠다.

 

 

아산에 있는 현충사라는 문화재는  충무공 이순신이 무과에 급제하기 전까지 살았던 곳으로,

지금의 현충사라 불리우는 곳이다.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숙종 32년(1706)에

사당을 세우고, 1707년 숙종이 직접 ‘현충사’라 이름 지었다.

 

 

 

여하튼 현충사는 규모가 굉장히 크다.

그리고 입구에서부터 시작해 그 끝으로 들어가 이순신의 위패를 모신 곳에 다다르면 나도 모르게 숙연해진다.

함부로 사진도 찍지 못할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로 위압감과 함께 경건한 마음이 절로 나온다.

 

 

 

내가 바라보고 있는 정면이 충무공 이순신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곳이었다.

감히 위패를 정면으로 사진을 찍고자 하는 용기(?)가 나지 않았다.

그만큼 초상화의 모습도 압도적이고 경건한 느낌이었다.

 

 

현충사 구경을 뒤로 한 뒤 자연스럽게 아산시내로 들어가 터미널 근처에 있는 찜질방을 향했다.

여지껏 전국에서 많은 찜질방을 다녀봤는데 아산에 있는 찜질방만큼 신식시설에 좋은 온천을 가지고있고 또 

그만큼 찜질방 시설이 좋다고 느낀 적은 한번도 없었다.

 

고로 아산 스파&찜질방 쵝오~!! 하루의 일정을 마감한 채 스파&찜질방에서 또 하루를 묵으려 한다.

 

역시 찜질방은 시설이 아무리 좋아도 사람이 많아서 이리 저리 쿵쿵거려 잠은 잘 못잔다........그래도 온천은 진짜 최고였다. 아산 온천 진짜 좋다...아산이 온양이고 온양이 아산인가?

 

Posted by 전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