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가 많은 도시 전주!



전주는 참으로 축제가 많은 도시이다. 전국적으로 너무나도 유명한 Jiff 국제영화제를 비롯하여 소리문화축제등 여러가지 축제(Festival)들을 개최하고 있다.

축제에도 다양한 축제가 있지만 특히나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주!'라는 케치프레이즈에 맞게 너무나도 한국적인 
축제들이 많이 있다. 

멀지않은 시일내게 다가오게 될 전주비빔밥축제(10월 20일~23일)나, 발효식품 엑스포(10월 20일~24일)같은 것들이 그것이다. 발효식품은 젓갈이나, 된장, 고추장등 장류와, 김치와 같은 우리의 전통음식들이다. 



그리고 전주하면 비빔밥이 떠오르고 비빔밥하면 한국이 떠오른다. 한국적인 멋과 맛을 찾을 수 있는 전주에는 이런 다양한 축제들이 있다.   

그리고 한가지 빼 먹을 수 없는 아주 세계적인 축제가 있다. 바로 세계소리축제이다. 
이 축제에는 당연히 우리의 소리(음악)를 알릴 수 있게 창극과 국악을 위주로 하여 우리나라의 음악을 세계인들에게 소개하는 자리이기도 하며 또한 다양한 나라의 음악인들을 초청하여 음악을 연주하고 무대에서 그 음악적인 느낌을 공유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올해만큼은 이 소리축제를 다양하게 경험하고 많은 것을 느끼고자 하여 이렇게 포스팅을 한다. 이 포스팅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전주세계소리축제를 즐겼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출처:  소리문화축제 홈페이지


특히나 이번행사는 우리나라에서 수많은 히트곡을 제조했던 김형석 작곡가와 청춘합창단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대중에 특히나 많이 알려져 더욱 유명하게 된 천재음악(연출)가 박칼린이 공동집행위원장으로 참여하여 사람들이 이목이 집중되는 축제이기도 하다. 

 

전주세계소리축제를 즐기자.


이번 축제의 장소는 당연히 전주가 되겠지만 그 중에서도 주가 되는 장소는 한국소리문화의 전당이다. 거의 모든 공연이 한국소리문화의 전당에 있는 외부공연홀과 내부공연홀에서 진행된다. 

 

주무대가 되는 한국소리 문화의 전당의 모습이다. 각 번호별로 표시되어 있는 곳이 공연장이니 소리문화의 전당 어느 곳을 가도 무대를 느낄 수가 있다. 

특히나 사람과 원숭이가 서 있는 13번무대는 공개홀로 무료공연이 많이 준비되어 있어서,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있는 무대이기 때문에 부담없이 소리축제를 즐길수가 있는 곳이다. 

그렇다면 굳이 한국소리 문화의 전당으로 가야지만 소리문화축제를 느낄 수가 있을까? 그것은 아니다. 전주에서 이미 관광객들의 발길이 많은 한옥마을에서도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무대설치와 많은 공연들을 진행하고 있다.  

 


4,5번 장소인 소리문화관에 무료공연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으니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이다. UNESCO 지정 세계문화유산인 판소리를 신명나고 맛깔스럽게 즐기려면 2번의 학인당으로 가면 된다. 

학인당에서는 우리소리를 알릴 수 있는 춘향가, 심청가, 적벽가등의 소리를 공연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작년의 소리축제는 다소 아쉬웠던 감이 있었다. 내가 제대로 관람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멋지고 아름다운 공연들도 많았고 볼거리도 다양했던 축제였는데 말이다. 

인상깊었던 공연은 '프랑코포니의 밤'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진행했던 공연이였다. 프랑코포니라 함은 
프랑스어를 주로 쓰는 국가들로 구성된 국제 기구를 의미하며 이들은 프랑스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 국가들이 주를 이루었다. 신나는 아프리카 음악과 레게풍의 음악들이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소리, 화합하는 소리를 만들어냈던 공연이 기억이 난다. 

그리고 작년은 폐막식 무대로 YB윤도현밴드가 와서 공연을 했는데 나는 이것을 보지 못해 더욱 아쉬웠다. 올해 2011년의 소리축제의 폐막식은 누구의 무대로 장식이 될지 궁금하다.
 
이렇게 멋스러움과 흥겨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전주세계소리축제를 많은 사람들이 즐겼으면 한다. 

전주에 왔으니 맛을 즐기자!



맛의 고장 전주에 왔으니 맛을 즐기는 것은 당여하다. 세계소리축제의 멋도 즐기고 전주의 맛도 즐기는 1석2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렇다면 전주의 맛집은 어디에 있을까. 우선은 가까운 한옥마을인근의 맛집을 소개해 보려 한다. 맛집중에서도 분식과 면식위주로 소개해 본다.

개략적인 위치와 개인적인 평과 상호명만 소개해 보려고 한다. 


베테랑
국수와 만두 쫄면의 분식 맛집으로 전주관광객들에게 소문난 베테랑.. 맛이 많이 변했다고는 하나, 입소문으로 유명하게 된 케이스라고 볼 수 있겠다. 국수의 국물이 약간 특이하다는 강점이 있지만 맛과 가격대비 효율이 상당히 떨어진다고 말하고 싶다. 위치는 성심여고 앞..성심여고는 전동성당과 학인당 사이의 큰 길에 위치해 있다. 
전주사람들도 맛이 변했다며 잘 찾지 않지만 향수를 찾아 이따금씩 들르는 곳, 그래서 그런지 요즘 관광객들의 돈을 심하게 털어가고 있다는 느낌이 드는 곳..
국수, 쫄면 5천원 만두 4천원

남천마루
칼국수의 맛과 국물이 아주 깔끔하다. 한옥마을 끝자락에 위치해 있으며 향교를 남천교옆에 있어서 이름이 남천마루인 듯 하다. 겉절이 김치와 국물 면의 삼박자가 조화를 잘 이룬다. 성인기준으로 남자가 먹으면 부족하단 느낌이 여자가 먹으면 알맞다는 느낌이 드는 특징이 있다... 지은지 얼마 되지 않아 인테리어도 나름 깔끔하고 가격대비 효율이 좋은 곳 :  국수 4천원
 


교동집
한옥마을 끝에 위치해 있다. 학인당과 가깝고 남천마루와 가깝다. 한옥마을길을 따라 남천교방향으로 가다보면 4거리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자장면집으로 상호명 옆에 50년이 되었음을 자랑하고 있지만 50년 깊이의 맛은 찾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강점이라면 가격대비 효율이 좋다는 것이다. 자장면을 가게에 와서 직접 먹고 현금으로 결제시 단돈 2500원이면 맛볼 수가 있다. 


길거리야
특이한 소재의 음식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바게트 버거이다. 바게트안에 햄버거처럼 고기와 야채를 넣어서 햄버거의 느낌을 살린 빵이다. 
잘못 먹다보면 빵보다 입천장을 콕콕 찌르는 아픔을 더 크게 맛볼 수 있다. 식으면 딱딱하게 굳어버리는 바게트의 특성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먹다보면 바게트가 와사삭 깨지면서 빵속에 넣은 고기와 야채들이 흘러 나오는 경우도 발생한다. 바게트버거는 체면을 차리고 먹기에는 힘든 음식이다. 가격대비 효율은 중간정도..

 


장가네 족발 
이 족발집은 위에서 이야기한 한옥마을 끝에 있는 교동집과 반대편에 위치해 있다. 이 곳 역시도 한옥마을 끝이다. 이 곳은 동부시장과 가깝다고 할 수 있겠다. 이 곳을 찾으려면 동부시장을 먼저 찾아 가기를..족발의 맛이 아주 일품인 곳이다. 학생들이 즐기기에는 다소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맛만큼은 확실하게 보장하는 곳이다. 술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이 곳 장가네에서 족발과 함께 소주한잔이라면 (조금 과장해서....) 천하를 얻은 느낌을 가질 것이다. 족발과 함께 나오는 미나리무침 맛 역시 일품이다.  콩나물국을 달라고 하면 콩나물국도 서비스로 주는 곳이다. 아는 사람들만 안다는....이 곳 족발 정말 맛있다...

출처: 전주 맛집 다음 카페

동포만두
전주한옥마을 근처에서 유명한 만두맛집이다. 장가네 족발과 아주 가까이 있으며 이곳 역시 한옥마을 끝이다. 동부시장을 찾는 것이 더 빠르다. 동부시장에 위치해 있으니까.... 근처에 5~7분정도 더 가다보면 만두와 찐빵으로 더 유명한 백일홍이라는 집이 있지만 이 곳의 맛도 무시못할 정도이다. 얇은 만두피로 인해서 속이 훤히 살짝 비치는 특징이 있으며, 그 얇은 만두피로 만두속의 맛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곳이다. 먹어본 결과 괜찮은 가격에 괜찮은 맛이라고 생각한다.  1인분 가격은 3500원  

출처: 전주 맛집 다음 카페


 이 외에도 전주에 맛집은 너무나도 많다..몇 군데 더 추천을 하자면 한옥마을 근처는 아니지만 할매국수집과 전북대 근처에 있는 이연잔치국수집을 추천하고 싶다. 국수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연잔치국수집은 꼭 가보시길...  이렇게 멋지고 맛나는 전주에 와서 전주세계소리축제도 즐기고, 다양한 맛도 즐긴다면 행복한 개천절이 끼인 주말연휴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Posted by 전방
,

올해에 전주에서 처음으로 지내게 되어 전주세계 소리축제를 관람했습니다.

많은 공연들과 전시들이 있었습니다. 특히나 오늘은 폐막식 공연이 있는 날이었는데 개인적인 사정으로

관람을 하지 못하게 되어 무척이나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 중 저는 인상 깊었던 공연과 전시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저는 소리문화의 축제의 메인공연장인 소리문화의 전당을 가서 공연과 전시를 보게 되었는데요

그 중 프랑코포니 음악의 밤이라는 행사가 무척이나 인상에 남습니다.

프랑코포니 음악의 밤?? 무슨 의미일지 곰곰히 생각해 보았습니다.

프랑코포니를 뜻하는 국제적 엠블럼이다.
'프랑코포니'라는 말은 La Francophonie는 국제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프랑코포니를 더 알고 싶다면~

접기

프랑코포니(프랑스어: La Francophonie)란 "국제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를 뜻한다. 국제 무대에서 프랑스어의 위상을 지키고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프랑스를 중심으로 창설되었다.

프랑스어는 영어가 국제언어로 급부상 하기 전인 제1차 세계대전까지 유럽의 유일한 외교언어였다.

프랑코포니의 사무총장

1997년 총회에서 국제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가 설립되면서, 사무총장제가 도입되었다. 초대 사무총장으로 유엔 사무총장을 지낸 이집트 출신의 아랍인으로 콥트파 신도인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가 뽑혔다. 갈리는 2002년까지 재임했으며, 2003년부터는 세네갈 대통령을 지낸 아브두 디우프가 맡고 있다. 디우프는 2006년 부쿠레슈티 정상회담에서 재선되었다.


 프랑코포니 가맹국

프랑코포니 회원국과 참가국.(2008년)

프랑코포니에 가입한 나라들은 프랑스어 사용국 및 과거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은 나라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일부 아랍 국가들(이집트)과 기타 국가들(불가리아, 루마니아 등)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알제리는 '식민주의의 잔재'라는 이유로 가입하지 않고 있다.

본부는 프랑스의 파리에 있으며, 2년마다 정상 회담(프랑스어: Sommet de la Francophonie)을 개최한다.

2006년 프랑코포니 정상회담은 9월 28일 9월 29일 이틀간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열렸다. 이 정상회담의 결과 기존의 4개 준회원국(알바니아, 안도라, 마케도니아, 그리스)이 정회원국이 되었고, 영연방 가나 키프로스가 준회원국이 되었고, 포르투갈 식민지였던 모잠비크, 유고슬라비아에 속했던 세르비아, 소련에 속했던 우크라이나가 신규 참관국이 되었다.

2008년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정상회담 결과 라트비아 태국이 새롭게 참관국 자격을 획득했고, 참관국인 아르메니아는 '준회원국을 통과하여 상설회원국으로' 진입하고 있다고 했다. 이는 실제로는 프랑스어권이 아니지만 국제무대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려는 의지 등이 참작된 것으로 준회원에 해당하는 지위다. 이로써 국제프랑코포니기구는 53개 정회원국(3개 지방정부), 3개 준회원국 및 14개 참관국으로 규모가 확대됐다.

하지만 프랑스어를 공식어로 채택하고 있는 나라는 32개(29개 독립국, 3개 지방정부)에 불과하다.



출처: 위키백과


접기


프랑코포니 음악의 밤 공연에는 프랑스어를 쓰는 국가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이 나와 공연을 해 주었습니다. 




그들은 모두  프랑스어를 쓰는 외국인들이었지만 음악과 소리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관객과 하나가 될 수 있었습니다.

특히나 인상적이었던 공연은 아싸오(H'sao)라는 팀이었는데 6명의 흑인으로 구성된 팀이었습니다.

인터넷에서 '흑형간지'라는 말이 유행하는데 

정말 그들은 '간지'였습니다. 

흑형들에게서 노래하는 내내 간지가 뿜어져 나왔습니다.

그들의 마지막 공연곡은 너무나도 신이나서 공연관람객들 모두를 Stand up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곤 모두 어깨를 들썩이고 다함께 "싸오~!!!"라는 구호를 외치며 노래에 참여했는데요

그 열기로만 친다면 아마 폐막식 못지 않은 열기를 보였던 것 같습니다.

또 다른 공연팀인 바빌론 서커스, 이들은 음악색이 좀 특이했는데요 말로 표현하기가 애매합니다. 

앞전의 아싸오 팀의 공연곡들은 확실히 아프리카 음악이라는 느낌이 많이 들고 신나는 비트가 많이 느껴졌고 바빌론 
서커스의 곡들은 팀 제목처럼 서커스같다는 느낌이 드는 곡들이었습니다. 


어쨋든 이래나 저래나 아주 열정적이고 인상적인 이들의 모습이 너무나 보기 좋았는데요

비록 언어가 달라 대화도 되지 않았지만 공연장에 있던 공연팀과 관객들은 음악으로서 소리로서 대화를 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세계소리문화축제의 궁극적인 목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금 더 좋은 카메라와 조금더 좋은 장치들이 있다면 이들의 노래를 녹화하거나 녹음해서 들려주고 싶을 정도로 정말 재미있고 흥미가 저절로 생기는 무대였습니다.

다음 세계 소리 축제때도 이 프랑코포니 음악팀들의 공연이 무척이나 기대가 되는 것이 축제가

자못 기다려집니다..  

Posted by 전방
,